육아/육아일기

육아 일기 1. 아빠는 부양육자

교사아빠 2025. 1. 16. 21:09
반응형

오늘 있었던 일

5살 딸아이가 평소와는 다르게 어린이집 하원을 하는데 왜 엄마가 오지 않았냐고 짜증을 냈다. 집에 올라와서도 계속 엄마를 찾으면서 안아달라고 하고, 다음부터는 엄마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 말을 듣는데, 괜히 상처를 받았다. ‘내가 얼마나 육아에 정성을 쏟고 항상 너를 데리러 갔는데도 나를 찾지 않다니….’ 이런 생각에 서러웠다.


아빠의 고민

솔직히 이런 어린 딸아이의 말에 상처받는 내 자신이 못나 보인다. 어른스럽지 못한 것 같고, 아빠로서 이러면 안 될 것 같아서 자꾸 스스로를 몰아붙이게 된다. 이런 감정이 올라올 때마다 혼란스럽고,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해결책 모색

긍정 훈육에서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가장 우선시한다. 딸아이가 엄마를 찾고 짜증을 낸 것은 단순히 엄마를 더 좋아해서가 아니라, 익숙한 상황과의 작은 변화에 대한 불안감을 표현한 것이다.

 

실천 방안:

  1. 감정의 이름을 말해주기
    딸아이에게 "오늘 엄마가 데리러 오지 않아서 속상했구나. 그래서 엄마가 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거구나"라고 말해준다.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부모가 알아주는 것만으로도 안정감을 느낀다.
  2. 상황 설명하기
    딸아이에게 "오늘은 아빠가 데리러 갔지만, 다음번엔 엄마가 올 수도 있고 아빠가 올 수도 있어. 둘 다 널 너무 사랑해서 데리러 오는 거야"라고 차분히 설명해준다.
  3. 안아주기와 신체 접촉
    아이는 몸으로 사랑을 느낀다. 아이가 안아달라고 했을 때, 충분히 안아주고 "아빠가 너를 안아줄게. 언제든 이렇게 말해도 돼"라고 말해준다.
  4. 자신의 감정을 아이와 나누기
    "아빠도 네가 속상해서 그런 말을 할 때 조금 마음이 아팠어. 하지만 너의 마음을 알아서 더 괜찮아졌어"라고 솔직히 털어놓는다. 부모가 자기 감정을 숨기지 않으면 아이도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나 스스로를 위로하고 격려하며

"너무 잘하고 있어. 딸아이가 엄마를 찾고 짜증을 낸 건 널 싫어해서가 아니야. 오히려 널 믿고, 자신의 감정을 다 보여줄 수 있어서 그런 거야. 아이가 네 앞에서 이렇게 속마음을 내보일 수 있는 건 네가 그만큼 안정감을 주고 있다는 뜻이야.

그러니까, 스스로를 몰아붙이지 않아도 돼. 너도 완벽한 아빠가 될 필요는 없잖아. 딸아이가 원하는 건 완벽한 아빠가 아니라, 그냥 네가 지금처럼 함께 있는 거야. 그러니까 너무 괴로워하지 말고, 너도 너 자신을 좀 안아주자. 오늘 하루도 정말 고생 많았어."

반응형